|
지역별로는 서울 46%가 '지지', 52%는 '비지지'로 나왔다. 인천·경기에선 43%가 '지지', 56%가 '비지지'라고 했다. 대전·세종·충청에서도 45%가 '지지', 55%가 '비지지'라고 응답했다. 광주·전라에선 73%가 '지지하지 않는다', 24%가 '지지한다'라고 했다. 대구·경북에선 '지지' 응답이 높았다. 58%는 '지지한다', 40%는 '지지하지 않는다'라고 답했다. 부산·울산·경남에선 47%가 '지지한다', 52%가 '지지하지 않는다'라고 응답했다. 강원·제주의 41%는 '지지한다', 59%는 '지지하지 않는다'라고 집계됐다. 보수 성향층에선 73%가 '지지한다', 26%가 '지지하지 않는다'라고 응답했다. 진보 성향층에선 13%만이 '지지한다', 86%는 '지지하지 않는다'라고 했다. 중도 성향층에선 43%가 '지지한다', 56%가 '지지하지 않는다'로 나타났다.
윤 대통령 탄핵 심판에 대한 기대도 정치 성향별로 극명히 갈렸다. 국민의힘 지지층에선 7%만이 '탄핵 인용을 바란다'고 했지만, '탄핵 각하를 바란다'와 '탄핵 기각을 바란다' 응답률은 각각 44%, 45%로 나왔다. 더불어민주당 지지층의 91%는 '탄핵 인용'을 바랐고, '탄핵 각하'는 4%, '탄핵 기각'은 2%에 그쳤다. 18~29세에선 '탄핵 각하' 22%, '탄핵 기각' 26%, '탄핵 인용' 45%로 나왔다. 30대에선 51%가 '탄핵 인용'을 바랐고, '탄핵 각하'와 '탄핵 기각' 응답률은 각각 28%, 17%로 집계됐다. 40대와 50대는 각각 67%와 60%가 '탄핵 인용'을 바랐다.
반면 60대에선 43%가 '탄핵 인용'을 원했지만, '탄핵 각하' 27%, '탄핵 기각' 26%로 두 응답률을 합친 결과가 더 높았다. 70세 이상에서도 '인용'(36%), '각하'(28%), '기각'(31%)이었다.
이번 조사는 아시아투데이가 KOPRA에 의뢰해 지난 28일~29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2명을 대상으로 무선 RDD를 이용한 ARS조사 방식으로 진행됐다. 응답률은 7.6%(1만3149명 중 1002명)이며 2025년 2월 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 기준으로 성별·연령별·지역별 가중값을 부여했고,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p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