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소벤처기업부는 14일 이 같은 내용이 담긴 '2025년도 1분기 중소기업 수출 동향'을 발표했다.
중소기업 수출은 작년 1분기(+0.1%)에 플러스로 전환된 이후 올해 1분기까지 5분기 연속으로 반등세를 이어가고 있다. 월별로 보면 1월(10.4%)은 조업일수 감소 영향으로 중소기업 수출도 감소했으나 2월(+7.1%), 3월(+5.2%) 2개월 연속 증가세가 유지됐다. 올 1분기 수출 중소기업 수는 6만3135개사로 전년 동기 대비(6만2118개사) 1.6% 증가했다.
올 1분기 중소기업 수출 1·2위 품목인 화장품(18.4억 달러, +19.6%), 자동차(17.4억 달러, +67.4%)는 1분기 역대 최고 수출액을 기록했다. 특히 화장품의 경우 최대 수출국인 미국에서도 역대 1분기 최고실적을 기록했으며 중소기업 수출 상위 10대국 중 8개 국가에서 두 자릿수 증가율을 보이는 등 수출 시장이 다변화되고 있다.
올 1분기 중소기업 상위 10대 수출국 중 중국, 일본, 홍콩, 대만, 태국, 인도네시아 등 6개국은 전년 동기 대비 수출이 증가했으며 미국, 베트남, 인도, 멕시코 등 4개국 수출은 감소했다. 중소기업 최대 수출국인 미국의 경우 화장품 수출은 증가했으나 글로벌 전기차 캐즘에 따른 이차전지 관련 장비 수요 둔화로 기타기계류(1.6억 달러·47.4%), 전자응용기기(1.3억 달러·25.6%) 수출이 감소했다.
또한 지난 3월 12일 발효된 미국 철강·알루미늄·파생상품 관세부과 대상 품목의 올 1분기 중소기업 수출액을 집계한 결과 전년 동기 대비 철강 제품(파생상품 포함)은 17.8%, 알루미늄 제품(파생상품 포함)은 7.6% 감소했다.
이순배 중기부 글로벌성장정책관은 "중소기업 수출은 화장품 등 주력품목의 수출 강세로 5분기 연속으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며 "다만 지난 3월부터 미국 관세 조치가 본격화되고 있는 만큼 중소기업 관세 영향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중소기업 관세 대응을 위한 추가지원 방안을 추진해 올해수출 호조세를 이어가게 지원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