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이은 집중호우 대응계획 점검
"피해 지역 호우 반복시 피해 커져
예방에 만전 기할 것" 강조
|
이번 점검회의는 금한승 환경부 차관 주재로 진행되었으며, 기상청, 환경부 소속 유역(지방)환경청, 홍수통제소, 한국수자원공사 등과 함께 연이은 집중호우로 인해 발생한 피해와 복구계획, 이날 밤 예보된 집중호우 대응계획 등을 점검했다.
지난 16일 오후부터 충남 지역을 중심으로 많은 비가 내린 데에 이어, 17일에는 광주·전남, 대구·경북에도 많은 비가 내리면서 일부 지역에 피해가 발생했다. 이미 많은 비가 온 상황에서 이날 저녁부터 전남과 경남 중심으로 최대 300㎜ 등 전국적으로 또 한차례 집중호우가 내릴 것으로 전망돼 추가 피해가 우려되는 상황이다.
환경부는 지난 16일부터 18일 오후 5시까지 홍수경보 31건(영산강 18건, 금강12건, 낙동강 1건), 홍수주의보 50건(영산강26건, 금강18건, 낙동강4건, 한강2건) 등 홍수특보 81건을 발령하고, 심각단계 36건(금강23건, 영산강12건, 한강1건)를 포함한 778건의 홍수정보를 제공했다.
아울러 홍수특보 및 홍수정보를 각종 통신체계(SMS, FAX, VMS) 및 재난안전통신망을 통해 각 지자체 담당자 및 부단체장에게 홍보해 필요시 주민 대피가 이루어지도록 한 바 있으며, 이번 강우시에도 홍수특보·정보 제공에 최선을 다할 계획이다.
한편, 16~17일 동안 쏟아진 집중호우로 인해 충남 예산 삽교천 삽다리교의 제방이 유실되고 상하수도 시설 등 환경기초시설에 19건의 피해가 발생했다.
삽교천은 17일 오전 6시 심각수위에 도달해 환경부가 올해 처음 도입한 '심각수위 안전안내문자(CBS)'가 발송되었고, 이에 따라 7월 17일 오전 6시경 주민대피가 즉시 이루어졌다. 주민 대피가 완료된 후 제방이 유실된 것으로 확인돼 신속한 위험 전파로 인명 피해를 막을 수 있었다고 환경부는 전했다.
환경부는 이날 오후 3시 30분 부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3단계가 발령됨에 따라 위기경보수준을 '심각' 단계로 격상하고, 각 소속·산하기관과 함께 호우대응을 위한 비상근무 태세를 유지하며 대응하고 있다.
금한승 환경부 차관은 "이미 피해가 일어난 지역에 다시 집중호우가 내리면 피해 규모가 크게 늘어날 수 있다"며 "하천 수위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위험정보를 빠르게 알리는 등 각 기관들이 이번 집중호우 피해 예방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