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조현, WP 인터뷰서 밝힌 미일중에 보낸 메시지, 주한미군 감축 전망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api2.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804010001037

글자크기

닫기

하만주 워싱턴 특파원

승인 : 2025. 08. 04. 08:49

조현 외교장관, "중국에 '한중 및 역내 현안에 국제법 준수 기대' 메시지 전달 노력"
"'중국 차단보다 관여해 좋은 관계가 효과적' 메시지 미일에 전달"
"주한미군 감축 없고, 역할 현행 유지...상원의원들 확언"
조현 외교장관
조현 외교부 장관이 7월 31일 오후(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 한국대사관에서 진행한 특파원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하만주 워싱턴 특파원
아시아투데이 하만주 워싱턴 특파원 = 조현 외교부 장관은 중국의 부상과 도전에 경각심을 가지고 있어 미국·일본과 협력하면서도 중국과 좋은 관계를 유지하는 게 정부의 입장이고, 이를 미국과 일본 측에 전달했다고 밝혔다.

아울러 조 장관은 방미 기간 면담한 수명의 상원의원들이 주한미군 감축이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고 단언했다고 전했다.

한미외교장관
조현 외교부 장관(왼쪽)과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부 장관이 7월 31일 오후(현지시간) 워싱턴 D.C. 국무부에서 악수를 나누고 있다./하만주 워싱턴 특파원
◇ 조현 외교장관, WP 인터뷰 "중국에 '한·중 및 역내 현안에 국제법 준수 기대' 메시지 전달 노력"
"'중국 차단보다 관여해 좋은 관계 유지가 효과적' 메시지 미·일에 전달"

조 장관은 3일(현지시간) 공개된 미국 일간 워싱턴포스트(WP) 인터뷰에서 1만여명의 북한군 러시아 파병 등 러·북 군사협력 등 지정학적 도전이 있는 현 상황이 비행기가 난기류를 통과하는 것에 비유한 뒤 "동북아시아에서 우리는 중국이 이웃 국가와 다소(somewhat) 문제가 되는 다른 문제를 가지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어 조 장관은 "우리는 중국이 남중국해와 서해(Yellow Sea)에서 해 온 것들을 봤고, 물론 중국은 경제적으로도 너무 잘, 너무 빠르게 발전해 경쟁자가 됐다"고 평가했다.

네덜란드 헤이그의 국제상설중재재판소(PCA)는 중국이 2009년 남중국해에 U자 형태로 9개 선(구단선)을 그어 90%를 자국 영해라고 주장한 데 대해 2016년 7월 12일 중국의 주장이 국제법상 아무런 근거가 없다며 거의 모든 주장에 대해 중재를 제기한 필리핀의 편을 들었지만, 이를 무시하고 암초 등에 대한 군사기지화 등을 지속하고 있으며 서해상에 구조물을 무단으로 설치해 한국과도 갈등을 빚고 있다.

악수하는 한-일 외교장관
조현 외교부 장관(왼쪽)과 이와야 다케시 일본 외무상이 7월 29일 일본 도쿄(東京) 외무성에서 가진 한·일 외교장관 회담에 앞서 악수를 나누고 있다./연합
조 장관은 "우리는 중국의 부상과 도전을 상당히 경계하게 됐다"면서도 "하지만 우리는 중국에 '우리는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 싶으며 중국이 양자뿐만 아니라 역내 현안에서도 국제법을 준수하는 것을 보고 싶다'는 메시지를 보내려고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그런 점에서 우리는 일본과도 협력할 것"이라며 미국을 방문하는 길에 일본 도쿄(東京)를 방문해 이와야 다케시(岩屋毅) 외무상과 이시바 시게루(石破茂) 총리와 만나 "우리가 역내에서 마주하는 새로운 도전들에 관해 이야기했다"며 "하지만 동시에 중국과 관여할 필요성을 언급하는데, 이는 단순히 중국을 차단하려 시도는 우리가 원하는 만큼 효과적이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조 장관은 '미국의 카운터파트들에게도 그런 메시지를 전달했는가'라는 질문에 "난 이 모든 것이 우리 동맹인 미국과 좋은 협력 속에 이뤄질 것이라는 점을 강조했다"고 답했다.

조 장관은 지난달 31일 워싱턴 D.C. 국무부에서 마코 루비오 국무부 장관과 첫 회담을 가졌고, 이후 백악관과 의회 주요 인사 등과 면담했다.

조현 외교부 장관, 미 상원 군사위원장 면담
조현 외교부 장관이 7월 31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의 연방의회 의사당에서 로저 워커 상윈 군사위원장(공화당)과 악수를 나누고 있다./외교부 제공
조현 외교부 장관, 미 상원 외교위원장 면담
조현 외교부 장관이 7월 31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의 연방상원 의사당에서 짐 리쉬 상원 외교위원장(공화당)과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외교부 제공
조현 외교
조현 외교부 장관(오른쪽)이 1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 백악관의 루스벨트룸에서 마이클 크래치오스 과학기술 정책실장과 악수를 나누고 있다./외교부 제공
◇ 조현 "주한미군 감축 없고, 역할 현행 유지될 것...상원의원들 확언"
"미 무역 불균형 완화 '윈윈' 제안해 한·미 무역합의...한국, 제조업 선두 유지, 지정학적 도전 직면 한·미에 중요"

조 장관은 '주한미군 관련 한·미 간에 어떤 논의가 진행되고 있냐'는 질문에 "우리는 미국과 대화하고 있지만, 주한미군에 대한 우려는 없다"며 "우리는 주한미군이 지금처럼 남아 있고 그들의 역할도 오늘과 같을 것이라고 믿는다"고 답했다.

조 장관은 '주한미군 감축이 한·미관계에 미칠 영향'과 관련한 질문에 "가정적인 질문이지만 난 그런 일이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 생각한다"며 "이번에 몇 상원의원을 만났는데, 그들 모두 그런 일이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고 나에게 확언했다"고 전했다.

한미 무역합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왼쪽 다섯번째)과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여섯번째)·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네번째)·여한구 산업부 통상교섭본부장(세번째) 등 한국 무역협상 대표단이 7월 30일(현지시간)간시지현 백악관에서 한·미 협상을 벌이고 있는 모습으로 백악관이 7월 31일 엑스(X·옛 트위터)에 올린 사진. 오른쪽이 마코 루비오 국무부 장관, 세번째가 스콧 베선트 재무부 장관, 네번째가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 그리고 왼쪽 두번째가 하워드 러트닉 상무부 장관이다./백악관 엑스 캡처
조 장관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무역협상에서 한국이 협박당했다고 느끼는가'라는 질문에 "(미국이) 무역 불균형을 바로잡기 위해 한국만 지목한 게 아니다"며 "우리는 미국 정부, 트럼프 대통령이 무역 불균형을 줄이고 싶어 한다는 것을 알고 있으며 (양국이) 윈윈하는 제안을 생각해냈다"고 답했다.

이어 "우리는 (대미) 무역흑자를 줄일 수 있지만, 동시에 몇 제조업 분야에서 선두를 유지할 수 있다"며 "우리가 동북아시아에서 마주한 지정학적 도전들 때문에 그렇게 하는 게 우리뿐만 아니라 미국에도 매우 중요하다고 믿는다"고 강조했다.

조 장관은 '미국과의 무역 협상에서 양보할 수 없는 '레드라인'이 있었냐'는 질문에 "난 우리 입장의 구체적인 내용을 일부 알지만, 말하지는 않겠다. 소시지를 만드는 과정에 관여하지 않고, 소시지를 즐기는 게 낫다"고 말했다.
하만주 워싱턴 특파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