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고가 거래도 13건에서 84건으로 늘어
"토허제 재지정 후 관망 심리 짙어져"
|
7일 부동산 플랫폼 직방에 따르면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직후인 지난 2월 13일부터 재지정 시행 직전인 지난달 23일까지 총 39일 동안 서울 송파구 잠실동과 강남구 삼성·대치·청담동의 아파트 거래는 모두 353건이었다.
이는 직전 39일(1월 4일∼2월 11일)의 거래량인 99건에서 256.6% 증가한 것이다.
같은 기간 서울 전체 아파트 거래량이 4559건에서 9665건으로 112% 늘어난 것과 비교해 증가폭이 크다.
특히 잠삼대청 지역 신고가 거래된 사례는 총 84건으로, 직전 39일 동안(13건)보다 546.2% 증가했다.
잠삼대청 중에선 잠실동 거래가 135건으로 가장 많았다. 지역 내 '대표 단지'라 불리는 리센츠 38건, 잠실엘스 34건, 트리지움 30건 등이다.
송파 다음으로는 삼성동(86건), 대치동(71건), 청담동(61건) 순으로 거래가 많이 발생했다.
이 4개동을 제외한 자치구별 거래량에서도 강남구가 676건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강동구와 송파구가 각각 652건, 성동구가 637건으로 뒤를 이었다.
잠삼대청 지역의 아파트 거래가 급증하긴 했지만, 증가세가 꾸준히 이어지지는 않았다.
조사 기간인 2월 13일부터 일주일 단위로 거래량을 보면 첫 주(2월 13일∼2월 19일)가 122건으로 최다 거래량을 보였지만, 5주차(3월 13일∼19일)는 26건에 그치며 거래량이 줄었다.
수요 집중으로 인해 초기 거래가 급증했지만 호가(집주인이 팔려고 부르는 가격)가 계속 상승하자 매수자와 매도자 간 입장차가 벌어지며 거래가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
다만 토지거래허가구역 재지정 발표가 난 3월 20일부터 23일까지 나흘 동안은 거래가 35건으로 다시 증가했다.
김은선 직방 빅데이터랩실 실장은 "규제지역 재지정으로 인해 수도권 부동산 시장은 단기적으로 거래 위축이 불가피할 전망"이라며 "대출 규제 및 세제 강화 조치가 다시 적용되면서 매수자들의 관망 심리가 짙어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