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H투자증권이 전망한 LG생활건강의 올해 2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2%, 18% 감소한 1조7234억원, 1300억원이다. 영업이익 컨센서스를 하회하는 수준이다.
화장품 부문은 각각 6%, 36% 줄어든 7141억원, 468억원으로 예상했다. 면세점을 비롯 방판 등 전통 채널의 외형 축소가 지속되나, 국내 H&B, 온라인 채널과 힌스 브랜드는 고성장 중이라는 평가다. 또 중국 매출은 3% 감소한 1621억원을 추정하며, 북미는 아마존 중심으로 두 자릿수 성장을 이어갈 것으로 내다봤다.
정지윤 NH투자증권 연구원은 "다만 글로벌 매출 확대를 위해 마케팅 비용 확대는 불가피하기에 화장품 부문의 수익성은 전분기 대비 하락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같은 기간 생활용품에서는 매출액과 영업이익을 전년 동기 대비 4%, 5% 성장한 5403억원, 357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북미 닥터그루트, 일본 유시몰 등 프리미엄 제품군 글로벌 매출이 확대 중이라는 판단이다.
정 연구원은 "하반기 실적은 낮은 기저로 화복될 것으로 보이나, 업종 내 성장률 측면에서는 아직 열위"라며 "LG생활건강은 LG전자의 홈 뷰티기기 '프라엘' 사업을 양수하며 미용기기 사업을 본격화하고 있고, 신사업과 글로벌 매출 확대 전략을 구사해 나갈 것"이라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