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해상풍력·수소터빈 쌍끌이… 신재생 격차 벌리는 두산에너빌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api2.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820010009085

글자크기

닫기

김유라 기자

승인 : 2025. 08. 19. 17:58

[에너지 전환, 기회와 과제④] 두산에너빌리티
초대형 풍력 인증… 해상풍력 최다
부품 국산화 70%로 '공급망 안정'
수소 전소 터빈 개발로 글로벌 선점
두산에너빌리티가 해상풍력과 수소터빈을 양축으로 신재생에너지 사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소형부터 초대형까지 다양한 풍력발전기를 생산해 국내 프로젝트를 공략하겠다는 전략이다. 부품 국산화율을 70% 이상으로 끌어올려 공급망 안정화에도 기여하고 있다. 아울러 독보적인 가스터빈 원천 기술을 활용해 발전용 '수소 전소 터빈'을 개발할 예정이다.

19일 두산에너빌리티의 2분기 실적자료에 따르면 올해 신재생에너지 분야 수주 기대치는 5000억원이다. 지난해 수주 실적 1000억원에 비해 5배나 큰 규모다. 이런 자신감에는 풍력발전 시장을 정조준한 다양한 제품 포트폴리오가 있다.

두산에너빌리티는 3MW·6MW·8MW 급 등 여러 해상풍력 발전기 모델을 생산하고 있다. 상대적으로 작은 발전기는 풍속이 느리고 불규칙적인 지역에 적합하며, 대형 발전기는 풍속이 빠르고 일정한 지역에서 주로 쓰인다. 두산에너빌리티는 3MW급 소형부터 8MW급 대형 발전기까지 모두 생산이 가능해 국내외 다양한 기후에 대응할 수 있다.

최근에는 10MW급 발전기에 대해 국제 인증기관 UL로부터 형식인증을 취득하는 데 성공했다. 업계에서 각광받는 초대형 모델이다. 설치 면적 대비 효율이 높고 유지관리 비용도 낮아, 대규모 에너지 전환의 핵심으로 꼽힌다.

이런 노력은 해상풍력 시장이 빠르게 성장함에 따라 결실을 맺을 전망이다. 정부의 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르면 현재 2.3GW 수준인 풍력발전 설비용량은 2038년 40.7GW 규모로 뛴다. 이재명 대통령의 '에너지 고속도로' 프로젝트가 현실화하면 신재생에너지 생산단지와 수요처가 연결돼 안정적인 에너지 공급이 가능하다. 이 대통령 공약집에는 전남·서남해·제주를 해상풍력 메카로 육성하고 인천 앞바다에서 경북 동해안을 잇는 해상풍력 벨트를 조성하는 방안이 포함됐다.

두산에너빌리티는 그간 국내 해상풍력 프로젝트에 참여해온 경험과 높은 부품 국산화율을 필두로 수주를 확보할 것으로 기대된다. 회사는 2005년 해상풍력 사업을 시작해 2017년 제주 탐라(30MW), 2019년 전북 서남해(60MW), 2025년 제주 한림(100MW) 등 여러 프로젝트에 해상풍력발전기를 공급해왔다. 국내 기업 중에선 최다 실적이다.

부품 국산화율은 사업 초기 30% 수준에서 현재 70% 이상으로 끌어올렸다. 신재생에너지 확대에 앞서 공급망 국산화도 정부의 주요 과제로 떠오른다. 이에 정부는 해상풍력 입찰 시 국산 터빈을 사용하면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방안 등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두산에너빌리티 관계자는 "이번 10MW급 발전기 개발은 150여 개 국내 협력사와 함께 이룬 성과"라면서 "정부의 재생에너지 확대 정책에도 발 맞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친환경 에너지의 정점인 수소부문에서도 보폭을 넓혀갈 예정이다. 수소는 연소 시 탄소가 거의 발생하지 않아 대표적인 차세대 에너지로 꼽힌다. 업계에선 글로벌 수소터빈 시장이 2030년 40조원 규모에 달할 것으로 전망한다. 이에 미국·독일·일본 등의 주요 기업들이 수소터빈 사업화에 나섰다. 국내에서는 두산에너빌리티가 기술 개발을 이끌고 있다.

두산에너빌리티는 천연가스 뿐 아니라 수소 전소도 가능한 90MW급 중형 가스터빈을 오는 2028년까지 개발한다는 목표다. 이와 함께 세계 최초로 400MW급 초대형 수소 전소 터빈도 개발하고 있다. 두산에너빌리티는 2019년 세계에서 다섯 번째로 발전용 대형 가스터빈 모델을 개발하는 등 독보적인 원천 기술을 갖고 있다. 이를 수소터빈 개발에도 활용해 글로벌 시장에서 앞서 나가겠다는 전략이다.
김유라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