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AI 전력 혁신 ④] “전력폭증 대비 합리적 전원믹스 필요… 원자력·LNG 활용을”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api2.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821010009902

글자크기

닫기

장예림 기자

승인 : 2025. 08. 20. 18:06

전력업계 전문가 분석
단기적 'LNG'·장기적 '원전' 강조
석탄→원전 대체… 비중 50% 확대
美·日 등 LNG 발전소 확대 흐름
인공지능(AI) 확산에 전력 수요 폭증이 예견되면서 합리적인 전원 믹스 구성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온다. 특히 경제성이 부족한 에너지저장장치(ESS)보다는 기저전원인 '원자력'과 유연성 전원인 '액화천연가스(LNG)'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공통된 견해다.

20일 아시아투데이는 국내 실정에 맞는 전원 믹스를 찾고 현 상황을 진단하고자 6명의 전력업계 전문가의 의견을 들어봤다. 이번에 함께한 6명의 전문가는 박종배 건국대 교수·유승훈 서울과기대 교수·장길수 고려대 교수·정동욱 중앙대 교수·정연제 서울과기대 교수·문주현 단국대 교수 등이다. 이들은 한 목소리로 '재생에너지·원전·LNG'의 전원 믹스를 꼽았다. 특히 경제성을 강조한다. 정동욱 교수는 "무탄소 전원으로 갈 수 밖에 없으며, 경제성을 고려해 조화로운 전원믹스를 구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우선 단기적으로 봤을 때는 LNG를 적극 활용하는 것이 현실적이라는 제언이다. 유승훈 교수는 "중단기적으로 봤을 때 LNG 발전소 외에는 현실적인 수단이 없다"며 "특히 LNG 발전소는 출력조절이 용이하기 때문에 재생에너지를 보완해줄 수 있다. 반면 ESS는 ㎿당 20억원 수준으로, 막대한 비용을 감당하는 것은 결국 한전이 되고, 이는 전기요금 상승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미국·일본·독일 등 주요 국가들은 LNG 발전소를 확대하고 있다. 일본은 2040년 LNG·화력 전원 비중을 40%까지 가져간다. 버지니아·캘리포니아 등 미국 주요 데이터센터들은 LNG를 통해 전력조달을 받고 있다. 버지니아는 LNG 발전비중이 59%를 차지하고 있다.

박종배 교수도 "2038년 이전 단기적으로 봤을 때는 재생에너지와 LNG 전원 믹스가 적합하다"며 "2038년 이후로 봤을 때는 결국 SMR 등 원전이 들어와서 전력수요를 막아줘야 한다. 현재 늘어나는 전력 수요에는 재생에너지와 유연성 자원으로 LNG 발전이 역할을 해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경제성을 고려했을 때 '원전'을 빼놓을 순 없다는 지적이다. 산업용 전기요금 상승은 기업의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이어져 결국 국가 수출 경쟁력 악화를 야기하기 때문이다. 문주현 교수는 "산업용 전기요금 인상은 그리드 플레이션(Greed flation) 가능성을 높일 것"이라며 "저렴한 가격에 공급할 수 있는 전원은 결국 '원전' 밖에 없다. 원전 비중을 50%까지 가져가야 한다. 재생에너지 비중을 유지하되 퇴출되는 석탄의 비중을 원전으로 대체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지난해 주요 발전원별 단가는 킬로와트시(㎾h)당 △원전 66.3원 △석탄 143.6원 △LNG 175.5원 △양수 209.0원이다.

아울러 원전도 LNG처럼 유연성이 필요하다는 견해도 나온다. 장길수 교수는 "현재 30~35% 수준의 원전 발전비중을 그대로 가져가는 것이 맞다. 다만 원전도 이제 필요한 경우에 출력제어를 할 수 있도록 탄력운전 기술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한수원은 올해부터 2028년까지 원전의 탄력운전 기술개발 및 실증 작업에 착수했다. 2029년부터 인허가 단계를 거쳐 2035년엔 상용화하겠다는 계획이다.

재생에너지 보급의 속도조절론도 고개를 든다. 정연제 교수는 "RE100은 경제성과 평판을 고려한 전략인데, 우리나라는 비싼 전원임에도 무조건 재생에너지를 확대하라는 기조다. 변질된 느낌"이라며 "경제성 확보를 위한 심도 있는 고민과 정책 설계가 필수"라고 지적했다.

재생에너지 확충에 앞서 면밀한 상황 분석이 필요하다는 의견이다. 문주현 교수도 "무조건적으로 재생에너지를 늘리고 보완 역할로 ESS를 투입하겠다고 하는 것은 어리석은 정책"이라며 "전기요금을 천정부지로 상승시키지 않으면서 안정적인 전력공급을 하려면 합리적인 전원 믹스가 필요한데, 재생에너지와 ESS에 치중되고 있어 안타깝다"고 강조했다.
장예림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