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미 관세 폭풍에 제조업 60% 리스크 노출…“정부 대응 절실”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api2.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401010000102

글자크기

닫기

이지선 기자

승인 : 2025. 04. 01. 09:12

대한상의, 관세 영향 설문조사
소부장 중소기업, 대응책 미비 상황
대한상의회관_004
대한상의회관./대한상의
오는 2일로 예정된 미국의 상호 관세 정책에 따라 국내 제조업 전반이 관세 리스크에 직·간접적으로 노출돼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터리·자동차·반도체·의료정밀 등이 특히 영향을 받으며 물량 감소, 수익성 악화 등을 우려하고 있는 상황이다. 미국으로 직접 수출을 하지 않더라도, 타 국가가 관세를 회피하기 위해 물량 밀어내기를 할 가능성도 남아있다는 분석이다. 이에 대해 소재·부품·장비 중심 중소기업들은 별다른 대책도 마련하기 힘든 실정으로, 정부 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단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1일 대한상공회의소가 전국 제조업체 2107개를 대상으로 진행한 '우리 제조기업의 미 관세 영향 조사'에 따르면 국내 제조기업의 60.3%가 트럼프 행정부 관세 정책의 직·간접 영향권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접 영향권에 있다'고 응답한 기업이 46.3%로 가장 많았고, '직접 영향권에 있다'는 응답은 14.0%였다.

미국은 업종별 관세를 속속 발표하고 있다. 지난 3월 12일에는 철강 및 알루미늄에 25% 관세가 시행됐고, 같은 달 26일에는 자동차 및 부품에 대해 25% 관세 부과를 발표했다.
clip20250401090253
대한상공회의소
이처럼 관세 정책 강화에 따라 미국에 직접 수출히는 기업은 물론이고, 관세 대상국 이외 국가나 국내 시장에서 중국과 경쟁하는 기업, 중국에 부품과 원자재를 수출하는 기업도 간접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간접 영향권에 속한 기업 업종별로는 배터리(84.6%)와 자동차·부품(81.3%) 업종이 가장 많았다. 특히 미국에 진출한 우리 대기업에 부품, 소재 등 중간재를 납품하는 협력사들이 많이 포함된 것으로 보인다. 또 반도체(69.6%), 의료정밀(69.2%), 전기장비(67.2%), 기계장비(66.3%), 전자·통신(65.4%) 등이 뒤를 이었다.

자동차의 경우 작년 전체 수출 중 미국의 비중이 46%를 차지했고, 여기에 멕시코 등 타국 생산공장에서 수출하는 물량까지 감안하면 약 70~90만대의 물량이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예측도 있다. 철강의 경우 수출물량 중 미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9~10%로 자동차에 비해선 낮지만, 미국의 시장가격이 높아 타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수익성이 좋은 시장으로 꼽혀온 만큼 관세정책이 장기화 될 시 우리기업에 타격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우리 기업들은 납품물량 감소(47.2%)를 가장우려하고 있다. 미국에 직접 수출하지 않더라도 간접 영향권에 속한 기업이 많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그 다음으로는 미국으로 직접 수출하는 기업들이 우려하는 '고율 관세로 인한 수익성 악화'(24.0%)가 꼽혔고, '미국시장 내 가격경쟁력 하락'(11.4%),'부품·원자재 조달망 조정'(10.1%),'납품단가 하락'(6.2%) 등이 뒤를 이었다.

그러나 대응은 제한적인 상황이다. '동향 모니터링 중'(45.5%)이거나 '생산코스트 절감 등 자체 대응책을 모색 중'(29.0%) 인 기업이 74.5%에 달했다. 반면, 보다 근본적인 대응책으로 '현지생산이나 시장다각화 등을 모색 중'인 기업은 3.9%에 그쳤고,'대응계획 없다'고 응답한 기업은 20.8%였다.

특히 중소기업들의 대응계획이 부족한 것으로 집계됐다. 상의는 지난 3월 26일 발표된 자동차 관세를 예로 들며 "대부분이 중소기업인 부품업종은 대미 수출 감소, 완성차 수출 감소로 인한 부품수요 감소, 타 국가가 관세를 회피해 국내나 신흥시장으로 물량 밀어내기를 할 가능성 등 미국에 직접 수출을 하지 않는 경우에도 관세 영향권 안에 들 수 있다"며 "독자적인 대응이 어려운 중소기업에 정부가 세부 정보공유 및 세제, 수출금융 등 자금측면의 지원과, 국내 완성차 생산량 유지를 위한 생산코스트 절감을 위한 금융지원, 내수판매 진작책 등 다각도의 대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김현수 대한상의 경제정책팀장은"본격적으로 미국 관세가 현실화되고 있는 가운데 우리 제조기업들은 대미 수출뿐만 아니라 중국의 저가공세 등의 간접영향까지 더해져 경영상 큰 타격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며 "민간 네트워크와 외교 채널을 통해 관세 영향 최소화에 힘쓰고 피해 업종에 대한 지원책을 세우는 한편, 장기적으로 관세와 같은 대외리스크를 이겨낼 경쟁력을 기르기 위해 우리나라의 기업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도 지속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지선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