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권 가계대출도 1조4000억 증가에 그쳐
경기둔화 우려로 대출수요 줄면서 기업대출도 감소 전환
|
게다가 은행 기업대출도 감소로 전환했다. 경기침체 우려에 따른 기업들의 대출수요 둔화와 은행의 리스크 관리 강화 영향이다.
9일 한국은행과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3월 전 금융권 가계대출은 4000억원 증가했다. 전달 4조2000억원 증가한 것을 감안하면 증가폭이 크게 줄어든 것이다.
주담대가 3조4000억원 증가했지만, 신용대출 등 기타대출이 3조원가량 감소하면서 전체 가계대출 증가폭이 축소됐다.
은행권 가계대출은 1조4000억원 증가에 그쳤다. 2월엔 3조2000억원가량 증가했었다. 한국은행은 "주택담보대출은 지난해 말과 연초의 주택거래 둔화, 신학기 이사 수요 해소 등의 영향으로 증가폭이 축소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기타대출은 부실채권 상·매각 등 계절적 요인으로 감소폭이 확대됐다"고 덧붙였다.
2금융권 가계대출을 보면 2월 9000억원 증가에서 3월엔 1조원 감소로 돌아섰다. 상호금융권은 증가폭이 축소됐고, 저축은행은 감소폭이 확대됐다.
은행권 기업대출은 3월 기준으로 20년만에 감소를 기록했다. 3월 은행 기업대출은 2조1000억원 줄었다. 전달엔 3조5000억원, 지난해 3월엔 10조4000억원이 증가했었다.
이에 대해 한은 측은 "대기업 대출은 분기말 재무비율 관리를 위한 일시 상환 등으로 운전자금 중심으로 감소했다"며 "중기대출은 대출수요 둔화세가 지속된 가운데 주요 은행들의 신용리스크 관리 강화, 부실채권 매·상각 등으로 감소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