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금통위 “성장 하방 압력 확대, 대내외 점검 필요”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api2.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417010010245

글자크기

닫기

임우섭 기자

승인 : 2025. 04. 17. 11:15

1분기 경기 부진 및 글로벌 통상여건 악화
미국 관세정책 변화 등 불확실성 여전히 커
250417_090101_BOK_0C6A3190_사진1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17일 통화정책방향 회의를 열고 현행 기준금리 2.75%를 유지한다고 밝혔다./한국은행
아시아투데이 임우섭 기자·손승현 인턴기자 =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2.75%로 동결했다. 물가 안정세가 이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글로벌 통상환경 악화와 국내 경기 둔화 등 하방 리스크에 대한 우려가 커진 데 따른 판단이다.

17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통화정책방향 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현행 연 2.75% 수준을 유지하기로 결정했다. 앞서 한은은 지난해 10월과 11월, 올해 2월까지 세 차례에 걸쳐 기준금리를 총 0.75%포인트 인하한 바 있다.

한은은 이날 통화정책방향 의결문에서 "물가가 안정적인 흐름을 이어가고 있지만, 1분기 경기 부진과 글로벌 통상여건 악화로 성장의 하방 위험이 확대됐다"며 "미국 관세정책 변화, 정부의 경기부양책 추진 등으로 전망 경로의 불확실성이 여전히 커, 현재 금리 수준을 유지하며 대내외 여건 변화를 점검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했다"고 밝혔다.

물가에 대해서는 대체로 안정적 흐름이 유지될 것으로 봤다. 3월 소비자물가는 2.1%, 근원물가는 1.9%를 기록했으며, 기대인플레이션율은 전월과 동일한 2.7% 수준이다. 한은은 "높아진 환율이 일부 상방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나, 유가 하락과 낮은 수요압력 등으로 2% 내외의 안정세는 이어질 것"이라며 "향후 물가 경로는 경기 흐름, 국제유가, 정부의 물가안정 대책 등에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금융시장과 환율의 변동성도 이번 결정에 영향을 미쳤다. 한은은 "원·달러 환율이 단기간에 큰 폭으로 상승했다가 반락했고, 주가는 경기 둔화 우려로 큰 폭 하락 후 일부 반등하는 등 주요 가격 변수의 변동성이 확대됐다"고 밝혔다. 주택시장과 가계부채에 대해서는 "가계대출은 낮은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으나, 최근 늘어난 주택거래 영향으로 일시적으로 증가 규모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분석했다. 3월 서울 아파트 가격은 전월 대비 0.5% 상승했고, 주택담보대출도 2조2000억원 늘었다.

한은은 향후 통화정책 방향과 관련해 "성장의 하방리스크 완화를 위한 금리인하 기조는 유지하되, 대내외 정책 여건 변화 및 물가·환율·가계부채 등의 흐름을 면밀히 점검하면서 기준금리의 추가 조정 여부와 시기를 결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임우섭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