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反트럼프 효과 통했다… 캐나다 총선, 집권 자유당 역전승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api2.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429010017520

글자크기

닫기

김도연 기자

승인 : 2025. 04. 29. 15:46

트럼프 '캐나다 병합' 위협·관세 압박에 민심 결집
카니 총리 승리 선언하며 "트럼프와 마주 앉을 것"
CANADA-POLITICS/
29일(현지시간) 캐나다 온타리오주 오타와에 위치한 자유당 선거 본부에서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가 연설하고 있다./ 로이터 연합뉴스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가 이끄는 자유당이 28일(현지시간) 실시된 총선에서 승리하며 집권을 연장하는 데 성공했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카니 총리는 오타와에서 자신이 소속된 집권 여당 자유당의 승리를 선언하며 "의회 내 모든 정당과 건설적으로 협력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그는 또 "두 주권 국가 간의 미래 경제 및 안보 관계를 논의하기 위해 트럼프(미국 대통령)와 함께 마주 앉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AP통신, 뉴욕타임스(NYT) 등 외신들은 관세 압박과 더불어 캐나다가 미국의 51번째 주가 돼야 한다며 캐나다의 주권을 짓밟은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이 캐나다인들의 반트럼프 감정, 반미정서를 부추겨 한때 참패 위기에 몰렸던 자유당이 극적인 역전승을 거뒀다고 전했다.

선거 당일에도 트럼프 대통령은 소셜미디어에 캐나다를 51번째 주로 편입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캐나다인들을 자극했다. 그는 "미국이 캐나다를 보조하고 있다"라고 잘못된 주장을 펼치기도 했다.

불과 3개월 전만 해도 캐나다의 차기 총리는 보수당의 피에르 포일리에브르 대표가 될 것이라는 전망이 중론이었다. 각종 지지율 여론조사에서 보수당은 1년 넘게 자유당을 20%포인트 이상 앞섰다.

보수당을 이끄는 피에르 포일리에브르 대표는 전임 총리였던 저스틴 트뤼도의 장기 집권에 따른 식료품·주거비 상승 문제를 부각하며 정권 교체를 노렸다. 하지만 트뤼도는 작년 말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으로부터 '총리' 대신 '주지사'로 호칭되며 "미국의 51번째 주(州)가 되라"는 굴욕적인 말까지 들으며 결국 총리직에서 물러났다.

트뤼도 총리의 사임 발표로 반등하기 시작한 자유당의 지지율은 카니 전 캐나다 중앙은행 총재가 후임 당대표로 선출되면서 극적으로 오르기 시작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압박과 '캐나다 병합' 위협에 캐나다인들은 미국 여행을 취소하고, 미국산 제품 구매를 거부하는 등 거세게 반발했다.

카니 총리는 선거 유세 기간 중 "미국은 우리를 무너뜨려 소유하려 하고 있다"며 "이는 단순한 발언이 아니라, 우리가 직면한 현실"이라고 경고했다.

포일리에브르 대표는 부인과 함께 오타와 지역구에서 투표를 마친 뒤 "변화를 위해 투표해달라"고 호소했지만, 트럼프를 연상시키는 그의 선거 전략이 오히려 역풍을 불러온 것이라고 AP 통신은 분석했다.

이민 정책, 기후변화 정책 등이 캐나다를 망쳤다고 외쳐온 포일리에브르는 캐나다 유권자들에게 여러 면에서 '캐나다의 트럼프'라는 이미지로 각인됐다. 그가 외친 '캐나다 우선'(Canada First) 슬로건도 '미국 우선주의(America First)를 앞세운 트럼프 대통령을 연상케 했다.

역사학자 로버트 보스웰은 "포일리에브르는 트럼프처럼 불만을 자극하는 전략을 폈지만, 오히려 캐나다 유권자들에게 역효과를 냈다"고 지적하며 "자유당은 트럼프에게 감사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극적인 승리를 거뒀지만 자유당의 앞길은 불투명하다. 과반 의석을 확보하지 못할 경우, 카니 총리는 퀘벡 분리독립을 지지하는 블록퀘벡당의 협조를 받아야만 정부 운영과 법안 처리가 가능하다.

맥길대학 정치학과의 다니엘 벨랑 교수는 "자유당이 극적인 반전에 성공했지만, 과반을 확보하지 못하면 정치적 불확실성이 커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캐나다는 현재 미국과의 무역전쟁, 트럼프 대통령과의 냉랭한 관계, 그리고 심각한 생계비 위기라는 삼중고에 직면해 있다.

카니 총리는 선거 유세 과정에서 "미국 제품에 부과하는 보복관세로 거둬들인 모든 수익을 무역전쟁으로 피해를 본 캐나다 노동자 지원에 사용하겠다"고 공약했다. 또한, 치과 진료 보장제도 유지, 중산층 감세, 지속 가능한 이민 정책 추진, 국영방송 CBC 예산 증액 등을 약속했다.
김도연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