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소기업중앙회는 2일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중소기업 경영애로 및 2025년 하반기 경기전망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 6월 16일일부터 20일까지 중소기업 500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했다.
조사 결과 올 하반기 전반적인 경기전망은 '호전'될 것이라는 응답 비중이 13.8%로 상반기 7.6% 대비 6.2%포인트 증가했다. 중소기업의 경영상황을 알 수 있는 항목별 경기전망에서는 올 하반기에는 상반기 대비 △매출(8.4%→14.8%) △영업이익(8.4%→14.8%) △자금사정(6.2%→11.4%) △공장가동률(9.6%→10.4%)이 모두 호전될 것으로 나타났다. 역계열 추세 항목에서도 △인력수준(18.6%→13.6%), △재고수준(9.6%→8.0%), △설비수준(2.8%→1.2%) 모두 호전될 것으로 조사됐다.
주요 경영 애로요인(복수응답)으로는 △내수부진(51.2%→49.8%)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원자재 가격 상승(43.6%→41.0%) △인건비 상승(39.6%→38.4%), △자금조달 곤란(21.4%→21.2%)이 뒤를 이어 하반기 경영애로 요인이 상반기에 비해 다소 완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중소기업 10곳 중 9곳이(90.0%) 내수경제 예상 회복 시점을 '내년 이후'로 응답했다. 내년에 내수경제가 회복할 것이라고 응답한 기업이 54.4%(내년 상반기 31.8% + 내년 하반기 22.6%), '2027년'으로 응답한 기업은 35.6%로 나타난 반면 올 하반기에 회복할 것이라고 예상한 기업은 10.0%에 불과했다.
올 하반기 최우선 경영 전략으로는 비용절감·구조조정 등 경영 내실화(27.6%)가 가장 많았고 △경영리스크 관리(21.6%) △핵심 인력 유지·역량강화(17.0%) △외형성장(10.0%) 순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의 활력 제고를 위해 가장 필요한 정책으로는 △세금 부담 완화(52.6% ) △금융 지원(45.8%) △인력난 해소(28.4%) △원자재 수급 안정화(26.2%) 순으로 조사됐다.
추문갑 중기중앙회 경제정책본부장은 "올 하반기 중소기업의 경영 전망은 상반기에 비해 다소 개선될 전망이지만 하반기에도 내수부진이 주요 경영 애로요인으로 나타난 만큼 정부는 중·단기적 내수 활성화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야 한다"며 "특히 중소기업 2곳 중 1곳이(52.6%) 세부담 완화를 가장 필요한 정책으로 꼽은 만큼 투자 세액 공제 확대 등을 통해 중소기업의 투자 여력을 지원하고 인력난 해소와 원자재 수급 안정화 등 중소기업 활력 제고를 위한 정책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