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송병준 “코스닥 시장 경직 제도로 본연 역동성 잃어”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api2.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703010001889

글자크기

닫기

오세은 기자

승인 : 2025. 07. 03. 10:28

벤처기업협회, '벤처·스타트업(신생 벤처기업) 투자시장 활성화를 위한 혁신 토론회' 개최
1
벤처기업협회는 국회 의원연구단체 유니콘팜과 3일 서울 여의도에 있는 국회 의원회관 제1세미나실에서 '벤처·스타트업(신생 벤처기업) 투자시장 활성화를 위한 혁신 토론회'를 개최했다.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벤처기업협회는 국회 의원연구단체 유니콘팜과 3일 서울 여의도에 있는 국회 의원회관 제1세미나실에서 '벤처·스타트업(신생 벤처기업) 투자시장 활성화를 위한 혁신 토론회'를 개최했다.

김한규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회수시장 경색이 벤처 생태계 선순환의 장애가 되고 있는데 투자자 보호와 혁신 성장의 균형을 이루는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배현진 국민의힘 의원은 "한국 회수시장의 한계가 스타트업, 벤처기업들에게 높은 진입장벽이 되고 있어 유망한 기업들이 해외로 빠져나가지 않고 국내에서 성장할 수 있도록 뒷받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장철민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벤처와 스타트업이 회수를 통해 재도전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투자시장이 혁신기업의 성장 기반이 되도록 제도 정비가 시급하다"고 밝혔다. 이해민 조국혁신당 의원은 "자본시장 접근성이 낮아 창업 기업들이 제때 자금을 조달하지 못하는 현실로 벤처·스타트업이 다시 도전하고 성장할 수 있는 회수시장 정비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최영근 상명대학교 교수는 "벤처생태계의 선순환을 위해 정부는 민간 주도의 회수시장 기반을 간접적으로 지원하고 코스닥 시장의 독립성과 상장제도 유연성 확보를 위한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석훈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기술특례상장은 벤처·스타트업에게 중요한 상장 통로지만 시장 신뢰 저하와 정보 비대칭 등의 문제를 안고 있어 기관투자자 중심의 자금 유입, 공시 강화, 폐지요건 유연화 등을 통한 제도 보완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전화성 한국초기엑셀러레이터협회장은 "기술기업의 특성과 성장단계를 고려한 상장 경로 마련이 필요해 심사 기준의 명확성과 시장 신뢰 확보가 중요하다"고 밝혔다. 이정민 벤처기업협회 사무총장은 "기술기업 상장은 늘고 있지만 회수시장으로서의 기능은 제한적으로 특례상장 제도의 유연화와 투자자 유인을 위한 세제 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안상준 코오롱인베스트먼트 대표는 "벤처투자 선순환의 핵심은 원활한 회수시장 확보로 우선주 전환 요건 유연화와 자발적 보호예수 개선 등의 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황수경 아스트로젠 대표는 "기술특례상장 과정에서 평가 기준이 기관마다 다르게 적용되는 경우가 있어 평가 기준의 일관성과 평가 결과에 대한 재심 절차 마련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송병준 벤처기업협회장은 "코스닥 시장은 본래 기술 중심의 벤처·스타트업을 위한 상장 시장이었지만 지금은 경직된 제도로 인해 본연의 역동성을 잃고 있다"며 "창업·성장·회수·재투자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에서 회수시장은 핵심 요소"라고 강조했다.


오세은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