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0일 대학과 의료계 등에 따르면 가천대·건국대·계명대·단국대·대구카톨릭대·아주대·원광대·한양대가 31일 등록·복귀 신청을 마감한다. 정부는 마감일에 전국 의대생 복귀 현황을 취합하고 '전원 복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이후 이르면 이번 주 2026학년도 의대 모집인원에 대한 입장을 발표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빅5' 의대생들이 대부분 복귀했고, 고려대 의대도 전원이 복귀한 것으로 전해졌다. 지방국립대에서도 충남대 의대생들이 전원 복귀하는 등 마감시한 전 복귀 움직임이 이어지고 있다. 일부 의대에서 미복귀자가 다수 확인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러나 현재 의대생들의 복학 분위기가 '대세'인 만큼 이들도 곧 복귀에 동참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정부는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이달 말까지 의대생들이 교육현장에 복귀한다면 2026학년도 모집인원을 증원 이전인 3058명으로 하겠다고 약속한 바 있다. 이에 교육부는 고등교육법 시행령 개정 작업을 통해 법적 근거를 마련 중이다. 의대생들이 대부분 복귀하고, 법이 통과되면 각 대학 총장은 다음 달 30일까지 한국대학교육협의회에 '조정된 의대 모집인원'을 담은 2026학년도 대학입학전형 시행계획을 제출한다.
다만 서울대·연세대 등 일부 의대 학생회는 기존의 미등록 휴학에서 등록 후 휴학·수업거부로 투쟁 방식을 변경키로 하면서 갈등은 이어질 것이란 전망도 있다. 의대생들은 일단 '제적' 등을 피하기 위해 등록을 하고, 수업에 참여하지 않는 방식으로 투쟁을 이어가겠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박단 대한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장은 SNS에 "정부와 대학은 일 년 내내 고압적인 입장을 견지하고 있으며, 자유 선택을 존중한다던 교수는 사실상 위계를 이용하여 찍어 누르고 있다"며 "등록 후 수업 거부를 하면 제적에서 자유로운 건 맞나. 저쪽이 원하는 건 결국 굴종 아닌가. 아직 주저앉을 때가 아니다"고 의대생들의 투쟁을 촉구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