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은행 통화정책 실효성도 떨어질 것"
새 정부 추경 추진에 대해선 "단기적 재정 여력 충분"
"부동산 시장 과열로 금리인하 속도 조절"
|
이 총재는 이날 미국 CNBC와의 인터뷰에서 "스테이블코인을 통한 사설 화폐가 유통되면 중앙은행이 금리를 조정하더라도 정책 효과가 시장에 제대로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 그러면서 "특히 한국은 자본이동 통제를 병행하고 있어 유럽이나 미국보다 통화정책이 받는 압력이 더 크다"고 덧붙였다.
미국은 지니어스법 통과 이후 핀테크업계가 비은행권에도 스테이블코인 발행을 허용해달라고 요구하고 있다. 이 총재는 미국 사례를 언급하며 "현재 은행을 통해 진행 중인 예금토큰 실험과는 별개로 이 사안은 통화정책을 넘어선 영역이며 새 정부와의 제도 정비 논의가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원화 스테이블코인이 자본 유출을 부추길 것이란 지적도 나왔다. 이 총재는 "오히려 원화 기반 스테이블코인이 달러 코인으로의 환전 통로가 될 수 있어 자본 유출을 더 부추길 수 있다"며 "기술이 고도화되면서 고객확인(KYC) 등 거래 투명성 확보 수단이 발전하고 있지만 아직 위험을 통제할 만큼 완전하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새 정부의 추가경정예산 추진 효과에 대해선 "0.2%포인트의 경제성장률 제고 효과가 기대된다"고 평가했다.
추경 추진으로 국가 부채가 늘어날 것이란 지적에 대해선 이 총재는 " 현재 한국의 국가채무비율은 GDP 대비 49% 수준으로 단기적인 재정 여력은 충분하다"고 진단했다.
또 가계부채 급증으로 부동산 시장이 과열되고 있는 만큼, 금리 인하 속도를 조절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 총재는 "가계부채가 GDP 대비 90%에 달하고 있고 서울 집값도 다시 오르고 있어 금융 불안정 리스크가 커지고 있다"며 "금리 인하의 여지는 있지만 속도와 시기는 경제지표를 보며 결정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