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리창 中 총리, AI 역량 독점, 봉쇄 반대 천명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api2.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726010015260

글자크기

닫기

홍순도 베이징 특파원

승인 : 2025. 07. 26. 16:11

상하이 세계인공지능대회 개막 연설
역량 소수 국가·기업에 집중 강조
중국은 미국과 달리 개방적 주장
아시아투데이 홍순도 베이징 특파원 = 리창(李强) 중국 총리가 26일 인공지능(AI) 기술이 소수 국가와 기업들의 전유물이 돼서는 안 된다면서 자국이 세계 AI 보급 역할을 맡겠다는 입장을 피력했다.

리창
상하이 엑스포센터에서 열린 2025 세계인공지능대회 개막식에 참석, 연설하고 있는 리창 중국 총리./신징바오.
신징바오(新京報)를 비롯한 매체들의 26일 보도에 따르면 리 총리는 이날 상하이(上海) 엑스포센터에서 열린 2025 세계인공지능대회(WAIC) 개막식 연설을 통해 "현재 AI 핵심 자원과 역량은 소수의 몇 개 국가와 기업에 집중돼 있을 뿐"이라면서 "만약 우리가 기술 독점과 통제, 봉쇄를 한다면 AI가 소수 국가와 소수 기업만의 게임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각 국가와 기업, 집단들은 AI를 평등하게 발전시키고 이용할 권리를 가져야 한다"고 주장한 후 "최근 우리 중국은 AI 플러스(+) 전략을 추진하면서 독창적 성과가 앞다퉈 나오고 있다. 기술 수준과 시장 규모가 끊임없이 향상되고 있다. 우리는 발전 경험과 기술을 세계 각국, 특히 '글로벌 사우스(Global South·남반구에 위치한 신흥국과 개도국)'의 능력 배양을 돕는 데 쓸 용의가 있다"고 강조했다.

중국을 상대로 AI 및 고성능 반도체 등 첨단 기술 통제 정책을 적극적으로 펼치는 미국을 겨냥한 발언이라고 할 수 있을 것 같다. 더불어 '독점의 미국'과 '포용의 중국'을 대비시키려는 의도적인 입장 피력이라고도 풀이할 수 있다.

리 총리는 이외에 "현재 AI 기술이 지속, 쾌속 업그레이드되고 있다. 그러나 컴퓨팅 칩 공급 부족에 점점 더 많이 직면하고 있다. 고품질 언어 자료가 점차 고갈되고 있다. 기업과 인재 교류, 협력이 제한받는 등 제약이 있다"면서 "각국은 첨단 이론과 기초과학 및 기술 연구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 AI 발전에 새로운 동력을 주입해야 한다"고도 강조했다.

그러면서 "중국은 혁신 자원과 활력이 충분하다. 적극적으로 오픈소스 발전을 추동하고 있다"면서 "우리는 각국과 함께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기술의 난관을 돌파하고 오픈소스 개방 강도를 높여 AI 발전이 더 높은 수준에 이르도록 함께 추진할 용의가 있다"고 말했다.

중국은 이날부터 28일까지 'AI 시대의 글로벌 연대'를 주제로 연례 WAIC를 개최한다. 화웨이(華爲)와 바이두(百度) 등 중국 주요 테크 기업들을 중심으로 구글과 아마존, 테슬라 등 글로벌 기업들이 함께 약 7만㎡의 공간에 3000여 종의 전시물을 선보인다.

주최 측은 이번 대회에 대형언어모델(LLM) 40여종과 AI 단말 제품 50여개, 휴머노이드 로봇 60여종이 전시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글로벌 최초'나 '중국 최초' 수식어가 붙은 제품도 100여 종 나올 것이라고 덧붙였다.
홍순도 베이징 특파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